2023년 8월 첫째주 MBC뉴스 시청자의견 게시판 답변 입니다.

라디오 뉴스  <문어체> 는 왜 쓰는가

방송은 <구어체> 즉 글이 아닌 말을 사용한다는 것은 기본 중의 기본이다. 상식이다.
8월 1일 오후 3시 라디오 뉴스 <문어체> * 및* 사용 사례
여자아나운서는
"행정안전부는 폭염에 대비해 지자체에 재난예방 및 상황관리에 철저...."
이런 사례는 라디오 뉴스에 종종 등장한다. 데스크 기능이 없는 것인지 , 내부 모니터가 안되는 것인지....
부끄러운 일이다. 공영방송으로 제 몫을 더해야 청취자로부터 사랑받는다.
행안부 보도자료를 참고해서 쓰더라도 구어체에 맞게 써야 한다.

A: 라디오 뉴스 진행중  <문어체> 발언을 쓰지 않도록 하겠습니다.
그리고 행안부 보도자료를 참고해서 쓰더라도 구어체에 맞게 쓰도록 하겠습니다.  청취에 불편을 드려 죄송하게 되었습니다.


정신이 나간듯한 기자 제보합니다

https://imnews.imbc.com/news/2023/sports/article/3899454_36154.html

이승우 선수는 지금 수원FC에서 뛰고 있습니다 저때가 7~8년전인데 왜 요즘 소식인것처럼 기사를 쓰고 있는거죠? 당사자 입장에서 매우 불편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정신차리세요


A:이승우 선수는 지금 수원FC에서 뛰고 있는것으로 정정 해 말씀드립니다.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2023년 3월 반짝이는 프리채널 시즌3 다시보기

2022년 12월 반짝이는 프리채널 시즌3 다시보기

2022년 10월 반짝이는 프리채널 시즌3 다시보기